반응형

 

오늘은 일반인들은 구분하기 힘든 의사 호칭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의대에 합격하고 나서 의예과(의학 기초과) 2년, 의학과(본과)에서 4년을 공부하고 나면 의대 국가고시를 보게 되는데요, 이 시험에서 합격을 해서 면허를 취득하면 일반의가 됩니다. 의사란 호칭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수련의(인턴)

 국가고시 합격 후 일반의가 되면 확실한 전공이 없는 상태로 병원에 들어가서 1년 동안 수련을 하는 수련의가 됩니다. 흔히 이야기하는 인턴이 되는 것입니다. 수련의(인턴) 기간동안에는 한 달 간격으로 진료과를 돌면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자기 적성과 하고 싶은 과를 찾아가는 시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련의 연봉 확인하러 가기

 

 

 

전공의(레지던트)

 1년의 수련의 과정을 거쳐 시험을 치른 후 합격을 하면 원하는 전공을 선택한 후 해당과에서 4년 동안 전공의로 근무하게 됩니다. 전공의를 레지던트라고 호칭하는데요 근무 기간 동안 1년 정도 후부터는 환자를 직접 맡아 주치의가 되며 선배와 교수들의 지도를 받아 주치의 생활을 하게 됩니다. 

 

전공의 연봉 확인하러 가기

 

 

 

전문의(스페셜리스트)

 4년간의 전공의 생활을 보낸 후 전무의 시험을 보게 되고 합격을 하면 전문의(스페셜리스트)가 됩니다. 보통 전문의가 되고 개원을 많이하는 편입니다. 

 

 

전임의(펠로우)

 전문의를 취득한 후에 대학병원에 남아서 의사활동을 더 하게 되면 호칭이 바뀌게 되는데요 임상강사(펠로우) → 조교수 → 부교수 → 교수로 승진을 하게 됩니다. 전임의(펠로우)란 호칭은 1년 차부터 불리게 되며 더 높은 경력을 쌓기 위해 전문의에 이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잘 몰랐던 의사가 되는 과정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학부때부터 전문의까지 꽤 오랜 시간 공부하고 실습하며 실력을 키워나가야 하는 의사라는 직종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