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가 설치된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잠시 자리를 비워두었을 때 절전 모드가 실행됩니다. 전력 소비를 줄이고 노트북 배터리 소모를 줄여주기 위함인데요, 때로는 컴퓨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컴퓨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절전 모드?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도움말에는 절전 모드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기본적으로 절전 모드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설정된 기능입니다. 최근 데스크톱 컴퓨터의 경우 안정된 성능을 내기 위해 대부분 파워를 700W 이상 제품을 사용을 합니다. 컴퓨터를 잠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계속해서 상시 전원이 공급된다면 전기를 꽤 많이 사용하게 되는 셈입니다. 노트북의 경우에도 전원 코드를 연결하지 않고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계속해서 상시 전원이 공급되면 배터리 소모가 어마어마하게 됩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끔 설정되어 있습니다.
컴퓨터 절전 모드 해제 방법
위와 같이 컴퓨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절전 모드이지만 개인에 따라서는 기능을 해제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절전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자동으로 작업 중인 모든 내용에 대해서 윈도우가 저장한다고는 되어 있으나 저장 중에 오류가 발생하여 애써 작업한 내용들이 날아가버리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 밖의 다른 사유들로 컴퓨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찬찬히 따라오시면 됩니다.
윈도우 시스템의 기본적인 설정들은 [제어판]에서 관리가 가능합니다. 윈도우10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화면 왼쪽 하단에 있는 검색창에서 '제어판'을 검색하셔서 실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제어판이 실행되었다면 보기 기준을 [작은 아이콘]으로 보는 것으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보기 기준을 작은 아이콘으로 변경하셨다면 아래에 보이는 [전원 옵션]을 실행합니다.
전원 옵션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몇몇 옵션들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그동안 아무 설정도 변경하지 않으셨다면 기본적으로 '균형 조정(권장)'이 선택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대로 둔 채 [설정 변경]에 들어갑니다.
설정 변경에 들어오시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미사용 시 절전 모드로 진입할 시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옵션이 나오는데 저희는 컴퓨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싶기 때문에 [해당 없음]을 선택합니다.
해당 없음을 선택하셨다면 마지막으로 [변경 내용 저장]을 누르시면 컴퓨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신 것입니다.
위와 같이 컴퓨터의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해제하지 않고 사용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 데스크톱 성능이 좋아짐에 따라 전력 소모량도 많아졌고, 노트북도 배터리를 넉넉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절전모드로 대기시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전모드 해제를 원하시는 분들께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