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작년 말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 카드 발급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부산시는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매출 증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화폐인 동백전을 출시하여 운영 중입니다.
동백전이란?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은 부산시화인 '동백꽃'과 화폐를 뜻하는 '전(錢)'을 합성한 명칭입니다. 소상공인과 시민, 전통시장이 함께(동.同) 상생 협력하며 소비의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로 100(백) 가지 행복과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합니다.
사용처는?
별도의 동백전 가맹점 표시가 없어도 부산 지역 내 신용카드 가맹점에서는 어디서나 동백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발행취지에 따라 아래의 사업장은 동백전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어떤 혜택이 있나?
동백전을 충전하여 결제하는 금액의 월 100만 원 한도에서 결제액의 6% 캐시백(이벤트 기간에는 10%)이 즉시 적립되고 30%의 연말 소득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캐시백의 경우 월 최대 100만 원 한도이며 100만 원 초과 결제 시에는 캐시백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동백전 하나카드의 경우 자체 정책에 따른 아래 추가 적립 혜택도 있습니다.
충전 및 환불은?
동백전 충전 한도는 월 100만 원이고, 충전 보유 가능 한도액은 최대 200만 원입니다. 충전 후 전액 미사용 한 경우 충전일로부터 7일 이내에 전액 충전 취소가 가능하며, 7일 경과 시 금액의 90% 까지만 환불이 됩니다. 사용 이후에는 충전금액의 60% 이상 잔액에 대하여 환불되고, 1만 원 이하의 충전 금액은 80% 이상을 사용할 경우 잔액에 대해 환불이 가능합니다.
동백전과 캐시백의 유효기간은?
동백전은 충전일로부터 5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하고, 캐시백도 적립일로부터 5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동일하게 소멸됩니다. 당연히 동백전과 캐시백 모두 유효기간이 짧은 순으로 사용됩니다.
동백전 카드 발급
그럼 동백전 신청 및 카드 발급은 어떻게 할까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회원가입 및 카드 발급 신청을 할 수도 있고 직접 은행(부산지역 부산은행, KEB하나은행 전 지점)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지자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지역 화폐(지역사랑 상품권)는 소비자 입장에서도 추가 할인 혜택을, 지역 내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입장에서도 매출 상승을 가져올 수 있는 좋은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부산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동백전 카드 발급으로 스마트한 소비생활을 즐기시기 바랍니다.